Mixtilinear circle은 수학 올림피아드의 기하 영역에서 자주 등장하는 원이다. 이 원이 명시적으로 주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이보다는 이 원을 보조적으로 잡으면 문제 풀이가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 원의 성질을 알고 있으면 문제를 날로 먹을 수 있는 경우가 상당히 있으므로, 문제를 풀면서 이 원을 접하게 될 때마다 추가적인 성질들을 기록해 두고자 한다.
Mixtilinear circle의 정의
삼각형 ABC에서 AB, AC에 접하고 (ABC)에 외접하는 원을 A-mixtilinear excircle 이라 하고, AB, AC에 접하고 (ABC)에 내접하는 원을 A-mixtilinear incircle이라 한다. 여기서 (ABC)는 삼각형 ABC의 외접원을 의미한다.
기초 성질; EGMO 2023 #6
Mixtilinear circle의 가장 기본적인 성질을 적도록 하겠다. 이 성질을 알아야 mixtilinear circle에 대한 직관적인 해석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성질이다.
삼각형 ABC의 A-mixtilinear circle ω 와 AB, AC, 외접원 Ω의 접점을 각각 D, E, T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1) TD와 Ω 의 교점 M은 C를 포함하지 않는 호 AB의 중점이다.
(proof) T에서 ω와 Ω의 공통 외접선 l을 생각하고 접현각과 원주각의 관계를 적용하면 ∠DTB=∡(TD,l)−∡(TB,l)=∠TDB−∠BAT=∠ATM
즉 호 AM과 BM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가 같음.
2) TE와 Ω 의 교점 L은 B를 포함하지 않는 호 AC의 중점이다.
(proof) 1)과 유사하다.
3) 삼각형 ABC의 내심 I는 변 DE의 중점이다.
(proof) Ω 위의 6개의 점 L, B, A, C, M, T에서 Pascal의 정리에 의해, LB∩CM=I,BA∩MT=D,AC∩TL=E는 일직선이다. 따라서 I는 DE 위에 있고 각 BAC의 이등분선 위에도 있으므로 DE의 중점이다.
4) 호 BAC의 중점 N에 대해 N, I, T는 일직선이다.
(proof) I는 DE의 중점이고, TA는 각 DTE의 symmedian이므로 TA와 TI는 isogonal 하다. 한편 호 AM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C2로 호 NL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와 같으므로, TI는 N을 지난다.
5) 사각형 AMTL은 조화사각형이다.
(proof) T(T, A, D, E)가 조화선다발이므로 이를 Ω에 사영하면 된다.

이제 위의 성질들을 이용해서 굉장히 기본적인 문제인 EGMO 2023 #6을 풀도록 하겠다. 근축을 이용한 쉬운 풀이가 존재하지만 나는 mixtilinear circle로 풀었다.
성질 1로부터 wb∩AB=D,wc∩AC=E에 대해 Sc,D,E,Sb는 일직선이므로, ∠ADE=∠B+∠C2=∠AED,AD=AE 로부터 A는 ωb,ωc 의 근축 위에 있다. 성질 4로부터 A-mixtilinear circle과 외접원의 접점 T에 대해 AT가 ωb,ωc의 근축이면 된다. 성질 5로부터 AScTSb는 조화사각형이다. 따라서 외접원에서 Sb,Sc 에서의 두 접선의 교점 U는 AT 위에 있다. U에서 ωb,ωc까지의 방멱은 같으므로, A와 U에서 방멱이 같아 증명이 끝난다.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또 복권 당첨 확률 (0) | 2024.02.09 |
---|---|
N종류의 쿠폰을 모두 모으기 위한 뽑기 횟수의 기댓값 (0) | 2024.02.09 |
3차원에서의 곡선을 기술하는 TNB Frame (0) | 2024.01.08 |
2006 IMOSL G10과 Rotating Calipers 알고리즘 (0) | 2024.01.07 |
2024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풀이 (1) | 2023.12.29 |